C언어 프로그램
<C언어 함수>
- c언어의 기본단위는 함수
- c언어의 함수에도 입력과 출력이 존재
- 세미콜론: 함수 내에 존재하는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 문자 ; 을 붙여야 합니다.
함수의 시작 형태는 이러합니다.
int - 출력 형태
main - 함수 이름
(void) - 입력 형태
{ } - 함수 몸체
위의 함수는 main이라는 이름을 가진 함수로 c언어로 구현된 모든 프로그램에는 main이라는 함수가 정의되어야 합니다.
<소스코드 분석>
▷ 헤더 파일 선언
# include <stdio.h>
printf와 같은 표준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헤더 파일 선언'을 해야 합니다. <stdio.h> 파일에 printf 함수 호출에 필요한 정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맨 앞에 선언을 해야 합니다. # include <stdio.h>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헤더 파일 선언문을 삽입하기도 합니다.
▷ return
return은 함수의 종료, 값의 전달(반환) 2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현재 실행 중인 함수의 종료
2. 함수를 호출한 영역으로 값을 전달(반환)
<주석>
▷ 주석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 코드를 분석하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하지 않아서, 남을 위해서 그리고 본인을 위해서 간단하게라도 주석을 달아야 합니다.
여러 행을 주석 처리하려면 위처럼 /* 주석 처리를 원하는 문장 */ (블록 단위 주석)을 사용하고
한 행을 단위로 주석 처리를 하고 싶다면 // 주석 처리 문장 (행 단위 주석)을 사용하면 됩니다.
주석처리가 되면 주석 처리된 부분만 초록색으로 변하니 구별하기 쉽습니다!
※ 단, 과도한 주석 처리는 좋지 않음!
< printf 함수 >
▷ 서식 문자
서식 문자는 출력의 형태를 지정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d는? 부호가 있는 10진수 정수의 형태로 출력하라는 의미!
▷ \n
이스케이프 시퀀스라고 불리고 개 행을 의미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printf("Hello! \n")를 출력한다면 Hello가 출력되고 행이 한 칸 아래로 내려가게 하는 용도입니다.
▷ 출력 대상
printf의 " " (따옴표)로 표시되는 문자열 뒤에 표시를 하고 콤마( , )를 이용해 각각 구분합니다. 서식문자(%d)가 여러 개이면, 출력의 대상도 여러 개가 등장해야 합니다. (서식 문자와 출력의 대상 수는 같아야 합니다.)
위의 소스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실행결과가 나옵니다.
c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기본 구성을 먼저 공부해봤습니다!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첫 단계! 새 프로젝트 만드는 방법 (1) | 2021.09.17 |
---|